연금 저축 연금보험.연금저축, 변액연금,장단점을 알고 싶어요,
연금보험 가입을 하려고 합니다,,
올해 30대중반이구요,,
제가 자영업자라서 소득신고를 하지 않다보니
소득 공제는 받을일이 없어서 공제는 신경 안쓰구요,
현재는 월10만원 정도만 넣을 생각이구요,,
기존 건강보험은 다 있습니다,,
순수하게 연금목적으로 가입하려고 하는데요,,
연금보험.연금저축, 변액연금,
각각 차이와 장단점을 알고 싶어요,,
또한 추천도 해주심 감사하구요,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써 주시면 더 도움이 될듯합니다,,
연금 저축
추천 Hit순위사이트 바로가기
클릭하시면 연금 저축관련 추천사이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 답변이 질문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소득신고를 하지 않아 소득공제를 받을 일이 없다면
연금저축은 머리 속에서 지우세요.
연금저축은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대신 추후 연금소득세를 부과하는 상품이기 때문이죠.
연복리 이자를 지급하는 연금보험과
펀드에 투자하는 변액연금보험의 경우
소득공제 혜택이 부여되지 않는 대신
추후 연금수령시 비과세 혜택이 부여되어 연금소득세를 전혀 납부하지 않으므로
질문자는 이 두가지 상품 중 선택을 해야 합니다.
연복리 이자를 지급하는 연금보험의 경우
변동금리를 적용하며 (현재 4% 후반에서 5% 초반대, 회사마다 금리 다름)
최저보증이율이 있어 시중금리가 아무리 떨어져도 일정 금리는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최저보증이율은 현재 2~3%대로 이 역시도 회사마다 다릅니다.)
금리라는 것이 시간이 흐를수록 하락하게 되므로
연복리 이자를 지급하는 연금보험에 가입할 경우
머지 않아 최저보증이율로 적립되게 되어
물가가치 상승율을 따라잡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예금자보호가 되고 안정적으로 이자가 붙는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반면에 변액연금보험은 펀드에 투자되는 실적투자형 상품이라
물가가치 상승 및 화폐가치 하락 등의 인플레이션 요인을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금개시 이전에 해약시에는 원금보장이 안되며
투자수익 악화시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단 연금개시 시점까지 반드시 유지할 경우 원금의 100~200%까지 보장해주는 상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iN 규정상 특정회사, 특정상품을 언급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시에는 해당 게시물이 삭제되고 패널티가 부여됩니다.
그러니 이후의 컨설팅은
질문자 마음에 드는 답변자를 선택하여 개인적으로 진행하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1. 연금저축
-연간 300만원 소득공제혜택이 있는대신, 연금수령시 연금소득세(5.5%)를 원천징수합니다.
-보험사 연금저축보험(공시이율 연동), 증권사 연금펀드(투자형), 은행 연금신탁상품이 있습니다.
-보험사 연금저축보험은 종신형,기간확정형,상속형 연금 등의 선택이 가능하나, 연금펀드와 연금신탁은
종신형 연금 선택은 불가합니다.
2. 연금보험
-소득공제혜택이 없는 대신, 10년이상 경과시 이자소득 등이 비과세됩니다.
-연금저축보험과 마찬가지로, 종신형,상속형,기간확정형 연금 등의 선택이 가능합니다.
-공시이율(현재 5%내외)에 연동되어 적립되며, 최저 2~3%의 이율은 보장합니다.
3. 변액연금 = 연금보험 + 펀드
-연금보험 기능을 가지나, 공시이율이 아닌, 펀드운영 수익에 따라 적립금이 변동합니다.
-수익율이 안좋아도, 연금개시 시점에 최저 100~200%이상 원금보장이 가능합니다.
-상품내 10개 내외의 펀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년간 12회 펀드변경이 가능합니다.
은퇴자산(연금자산) = 시간 x 수익율 x 투입금
-일찍 가입하여 복리효과를 극대화하고, 기대수익율을 제고할수 있는 투자형연금(변액연금)을 고려하며,
투입금을 점차 늘려가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회사마다 선취수수료(사업비) 부담이 적은 추가납입 한도와 납입기간이 다르고, 변액연금내 보유
펀드의 수와 주식편입비 등이 다르며, 납입중지 기능 등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기능적으로 유리한 회사의
상품을 선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나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연금 저축연금보험.연금저축, 변액연금,장단점을 알고 싶어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