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26일 월요일

먹이연쇄 - 생태계의 먹이연쇄

먹이연쇄 - 생태계의 먹이연쇄

 

 

먹이연쇄 (-連鎖 food chain)

생태계에서 생물군집의 개체군들 사이에 사슬모양으로 이어져 있는, 먹고 먹히는 복잡한 먹이관계. .
설명
생태계에서 생물군집의 개체군들 사이에 사슬모양으로 이어져 있는, 먹고 먹히는 복잡한 먹이관계. 미국 생태학자 V.E. 셸포드가 1913년에 처음으로 먹이연쇄를 그림으로 나타냈다. 1927년에는 영국 생태학자 C.S. 엘턴이 동물군집 연구의 기초적 방법으로서 먹이연쇄 조사·분석을 중요시하여 도입했는데, 이때부터 먹이연쇄를 본격적으로 조사하게 되었다. 그런데 먹이연쇄는 실제로는 단순한 한 줄의 연결관계가 아니라여러 갈래로 가지치고, 또 가지들끼리 연결되어서 복잡한 그물 모양의 관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먹이연쇄를 <먹이그물(food web)>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먹이연쇄는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지만, 이것의 일반적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① 먹이연쇄는 보통 4~5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7단계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드물다. ② 먹이연쇄는 보통 살아 있는 생산자(풀·나무·조류 등 독립영양식물)부터 시작되며, 이를 <생식연쇄>라 한다.

또 <고사(枯死)식물 → 톡토기 → 거미 → …>의 경우처럼 죽은 생산자의 몸부터 시작되는 <부식연쇄(腐植連鎖)>도 목격되나, 먹이연쇄의 영양원·에너지원은 생산자에 의해 동화된 유기화합물과 이것에 태양광에너지가 전환·저장된 화학에너지라 할 수 있다. ③ 생물군집이 다르면 먹이연쇄의 개체군 배열도 다르다. 그러나 생물군집이 달라도 생태적으로는 유사한 개체군 배열이 이루어지고, 공통된 양상을 띤 먹이연쇄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툰드라(한대초원)에 사는 극지여우는 바다오리의 알을 훔쳐먹는 습성이 있고, 겨울에는 흰곰(북극곰)이 먹다 남긴 것을 얻어먹으며 월동하고, 한편 사바나(열대초원)에 사는 얼룩하이에나는 북극여우처럼 타조의 알을 훔쳐먹기도 하고 사자가 먹다 남긴 것을 얻어먹기도 한다. ④ 다른 생태계로 옮겨지거나, 계절이 바뀌거나, 성장·발육상의 시기가 다르거나 하면 당연히 개체군의 <생태적 지위>는 달라진다. 즉 그 개체군의 공간적 위치뿐만 아니라, 먹이연쇄에서의 위치도 달라진다.

예컨대, 늦가을에 강 하류에서 부화된 은어의 치어는 바다로 내려가 검물벼룩 등을 먹고 살며 어식성(魚食性) 어류에 잡아먹히게 되는데, 상류에서의 미성어기·성어기에는 부착 조류(藻類)를 먹으며 어식성 어류·조류에 잡아먹히게 된다. ⑤ 먹이연쇄를 양적(量的)으로 고찰해보면, 포식자의 몸집은 피식자의 몸집보다 크지만, 개체수는 포식자가 피식자보다 적다. 일반적으로 생물군집에서의 생물량과 생산량을 에너지로 나타낸 양을 먹이연쇄의 영양단계별로 각각 조사·비교하면 생산자·제1차소비자·제2차소비자·제3차소비자의 차례로 많으며, 이것을 각각 도표로 나타내면 이른바 <생산량피라미드> <에너지피라미드>를 이루게 된다.

.

 

 

먹이연쇄 - 생태계의 먹이연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