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 종합운동장 부천/김태균홈경기생중계
부천시 (富川市)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 북쪽과 동쪽으로 서울특별시, 서쪽은 인천광역시, 남쪽은 시흥시·광명시와 접한다. .
설명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 면적 53.44㎢. 인구 83만 9900(2003). 북쪽과 동쪽으로 서울특별시, 서쪽은 인천광역시, 남쪽은 시흥시·광명시와 접한다. 시청소재지는 원미구 중1동.
역사
부천시는 전통적으로 행정치소가 위치한곳이 아니며, 일개 자연부락 또는 면지역으로부터 성장하였다. 1914년 부·군·면 통합 때 인천부가 개항장에 한정되고, 그 나머지지역과 부평부(富坪府), 남양군(南陽郡)의 일부와 강화군(江華郡)의 신도·시도·모도 등을 통합하여 부천군이 신설되었다. 1963년 소사읍(素砂邑) 7개리와 오정면(吾丁面) 2개리가 서울시로, 작약도가 인천시로 편입되었고, 1973년 소사읍 일원을 중심으로 부천시가 신설되었다. 1975년 오정면과 소래읍(蘇萊邑) 일부지역이 다시 부천시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3구 37개 동이다.
자연
남동부가 높고 북서부가 낮은 지형으로, 중남부의 원미산(遠美山, 124m), 남부의 성주산(聖柱山, 217m)·할미산(153m) 등 해발고도 200m 내외의 낮은 구릉지가 분포한다. 북부와 서부에는 굴포천(掘浦川)·소사천 등의 여러 지류가 오정동과 중동(中洞)에서 합류하여 한강에 유입되며, 그 유역에 넓은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기반암은 시생대 결정편암계와 백악기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후는 연중온화한 편이나, 한겨울의 기온은 같은 위도상의 강릉(江陵)에 비하면 매우 낮다. 연평균기온 13℃, 1월 평균기온 -4℃, 8월 평균기온 27℃이며, 연강수량은 1144㎜이다(2001).
산업·교통
주요농산물은 쌀·감자·복숭아·포도 등인데, 특히 복숭아·포도 등의 과수 및 채소·화훼 재배가 두드러진다. 산업별 인구는 1차산업 15%, 2차산업 49%, 3차산업 36%로 2·3차산업 종사자가 대부분이다. 공업은 기계·금속·화학·전기전자·섬유·식품 등이 주류를 이루며, 이 중 기계 제조업체가 300여 개소로 가장 많다. 교통은 서울과 인천의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경인선철도와 경인국도가 시의 남부를, 경인고속도로와 다른 국도가 시의 북부를 동서로 관통하고 있다. 전철역으로 부천역·역곡역·송내역 등이 있다.
사회·문화
1925년 한국인학교로 소사보통학교(현재의 부천북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1973년 시로 승격됨에 따라 시역확장과 인구증가로 교육기관이 증가하여 2003년 현재 초등학교 53개교, 중학교 29개교, 고등학교 24개교, 특수학교 1개교, 전문대학 2개교, 대학 2개교가 있다. 부천시는 5대 문화사업으로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PiFan), 부천국제대학애니메이션페스티발(PISAF), 부천만화정보센터, 복사골예술제를 실시하고 있다. 복사골예술제는 옛 <복사골>의 정취를 살리고 전통문화예술을 진흥하기 위하여 1985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송내북부역 일대에는 국내 최초로 만화의 거리인 <둘리의 거리>가 있는데, 이곳에서 다양한 이벤트가 열리곤 한다. 범박동(範朴洞) 일대에 종교취락으로 <신앙촌(信仰村)>이 있다.
문화재
부천시는 유물·유적 등의 문화재가 거의 없다. 다만 심곡동(深谷洞)에 궁시장(弓矢匠;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김장환(金章煥)이 살고 있었는데, 그가 죽은 뒤 아들이 업을 계승하고 있다. 성주산 기슭에 육각정이 자리하여 시가지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고, 소사동에는 시보호수인 쌍느티나무가 있다. 시내관광코스로 신흥동(新興洞)의 제조업체-원미산-성주산-관광농원-여우고개-신앙촌 등을 잇는 종단코스가 있다.
.
부천 - 종합운동장 부천/김태균홈경기생중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