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5월 8일 토요일

안산 - 원주민파?안산/최은정협박

안산 - 원주민파?안산/최은정협박

 

 

안산시 (安山市)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 동쪽은 군포시, 서쪽과 남쪽은 황해, 북쪽은 시흥시에 접해 있다. .
설명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 면적 144.92㎢. 인구 67만 163(2003). 동쪽은 군포시, 서쪽과 남쪽은 황해, 북쪽은 시흥시에 접해 있다. 시청소재지는 단원구 고잔2동.

 

 

역사
양상동(楊上洞)과 월피동(月皮洞)에서 청동기시대의 고인돌[支石墓(지석묘)]과 삼국시대 초기의 토기조각들이 발견되었고, 초지동(草之洞)과 목내동(木內洞)에서는 김해식(金海式) 토기조각과 삼국시대의 성터가 발견되었다. 인근 화성군의 남양만(南陽灣)에는 별망성(別望城)이 있어서 삼국쟁패의 요충이 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장구군(獐九郡)이 되어 한주(漢州)에 속하였고, 940년(고려 태조 23) 안산군이 되었다가, 1308년(충렬왕 34) 안산군 지군사(知郡事)가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내내 읍격(邑格)을 유지하였다. 1895년(고종 32) 인천부(仁川府) 안산군이었다가 1896년 경기도 안산군으로 고쳐졌고, 1914년 금천군(金川郡)·과천군(果川郡)과 함께 시흥군(始興郡)으로 되었다. 그후 1976년 시흥군의 수암면, 군자면과 화성군의 반월면 일부가 반월신공업도시(半月新工業都市)로 조성되어지면서 해마다 인구가 증가되어 1986년 안산시로 승격되었다. 1994년 12월 화성군 반월면 일부와 옹진군 대부면을 편입하였고, 1995년 시흥시 화정동 일부와 장상동·장하동·수암동을 편입하였다. 2002년 상록구와 단원구를 설치하여 2003년 현재 2구 23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
시 북동쪽의 마산(麻山, 246m)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해발고도 100m 이하의 저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안산을 사이로 공업지대와 주거지대로 나눈 계획도시로, 안산천이 시의 가운데를 관류하여 황해로 흘러 들어간다. 남동쪽에는 구룡천(九龍川)이 서쪽으로 흘러 고잔저수지로 유입되며, 남쪽 시계(市界)를 따라 반월천이 황해로 흐른다. 서쪽에는 화정천(花井川)과 신길천(新吉川)이 있다. 이들 하천 일대와 해안에는 충적평야가 형성되어 있고, 해안에는 조석 간만의 차가 심하다. 기후는 계절풍이 뚜렷하다. 최근 5년간 연평균기온은 12.6℃이고 연강수량은 1286㎜(1997∼2001)이다.

산업·교통
1970년대 이후 수도권의 공업시설과 인구분산을 위한 임해공업도시로 출발했기 때문에 제조업의 비중이 높고 농업의 비중은 매우 낮다. 조립금속·화학·식품·제지·섬유·1차 금속·인쇄 등이 성하며, 반월공단과 시화공단 등 대규모 국가공단이 조성되어 1만 여 업체가 입주해 있다. 1999년 경기테크노파크가 개원하여 산학협동 체제로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신갈·안산간 고속국도, 서해안 고속국도가 이 지역을 통과하고, 수원∼인천간 국도가 시의 동부를, 시흥과 연결되는 국도는 가운데로 통한다. 기타 많은 산업도로가 개설되어 교통이 편리하다. 또한 서울 도심권과 연결되는 전철이 운행된다.

 

 

사회·문화
근대교육의 출발은 1931년 최용신(崔容信)이 문맹퇴치운동의 일환으로 천곡교회에 야학당을 열면서부터이다. 2002년 현재 초등학교 44개교, 중학교 19개교, 고등학교 16개교, 전문대학 3개교와 한양대학교 안산분교가 있다. 1987년 안산문화원이 문을 열어 매년 10월 <별망성문화제>를 여는 등의 활동을 벌이고 있다. 안산지방에서 구비전승되고 있는 민요로는 <배치기노래> <방아소리> 등이 있다.

문화재
반월동의 11세기 고분, 월피동의 청동기시대 고인돌, 초지동의 조개더미[貝塚(패총)] 등에서 많은 껴묻거리[副葬品(부장품)]들이 나왔고, 초지동의 별망성지(경기도기념물 73)와 신길동의 새뿔사옹원분원지[新角司饔院分院址(신각사옹원분원지)] 등이 있다.

.

 

 

안산 - 원주민파?안산/최은정협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