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寒食)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음력 2월 또는 3월에 들고 양력 4월 5·6일 무렵에 해당된다. .
설명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음력 2월 또는 3월에 들고 양력 4월 5·6일 무렵에 해당된다. 24절후에 들지는 않지만 습속으로 전해 내려오며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이다.
한식은 해마다 봄에 나라에서 새불[新火(신화)]을 만들기 앞서 어느 기간 동안 묵은불[舊火(구화)]을 일체 금단하던 고대종교적 예속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도 하며, 이날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다는 중국 풍속에서 유래한다고도 한다.
또한 개자추전설(介子推傳說)에서 기원한다고도 하는데, 중국 진(晉)나라 문공(文公)이 국란을 당하여 개자추 등 여러 신하를 데리고 국외로 탈출하여 방랑할 때, 허기져 쓰러진 문공을 개자추가 자기 넓적다리살을 베어 구워먹여 살렸다 한다. 뒤에 왕위에 오른 문공이 개자추에게 벼슬을 주려하자 면산(綿山)에 들어가 나오지 않았고 그를 나오게 할 목적으로 불을 질렀으나 끝내 나오지 않고 타 죽었다.
그 뒤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한식이 되면 나라에서는 종묘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하고 민간에서는 여러 가지 음식으로 절사(節祀)를 지낸다. 또한 주과(酒果)를 마련하여 성묘하고, 주위에 식수나 사초(莎草)를 한다. 개자추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비가 내리는 한식을 물한 식이라고도 하며, 이때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 는 속설이 있다. 한식날부터 농가에서는 농작물 씨를 뿌리는 등 본격적인 농사철로 접어든다.
한식 - 한식/임성민연기논란
댓글 없음:
댓글 쓰기